파일 유형을 점검하고 값을 비교하는 명령어

사용법 : test [표현식], test [옵션] 
--help : 사용법을 보여준다. 
--version : 버전정보를 보여준다. 

조건 문에서 사용되어 다음 나오는 파일 또는 문자열등의 인수를 검사한다.참인 경우 0을 리턴하고 거짓인 경우 0이 아닌 값을 리턴 한다. 조건문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test 자신이 어떤 명령을 수행하기 보다 조건문에 사용되는 파일이나 문자열등을 판단하는데 쓰이므로 다음 예제를 보는게 이해가 빠를 것이다.

# if test -e "mbox"; then echo "참" ; fi 
참 

간단한 if 조건문이다. if 조건문을 모를 경우 shell 부분을 참고하자. 위 예제에서 "-e"는 표현식으로 파일의 존재를 확인한다. 파일이 있으면 참값을 리턴한다. 여기서는 "mbox" 라는 파일이 존재하면 then 이후에 "참"을 보여주며 만약 존재하지 않으면 그냥 종료된다. "참"을 출력하였으므로 "mbox"파일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확인하고 싶은 파일이나 문자열에 맞게 표현식을 사용하여 테스트한다.
표현식
-b : 파일만약 블록 특수 파일인 경우 참.
-c : 파일만약 문자 장치 파일인 경우 참.
-d : 파일만약 디렉토리면 참.
-e : 파일만약 파일이면 참.
-f : 파일만약 보통 파일이면 참.
-g : 파일만약 set-group-id 파일이면 참.
-k : 파일만약 "sticky" 비트 설정의 파일이면 참.
-L : 파일만약 심볼릭 링크 파일이면 참.
-p : 파일만약 명명된 파이프 파일이면 참.
-r : 파일만약 읽기 가능한 파일이면 참.
-s : 파일만약 0 보다 큰 크기를 갖는 파일이면 참.
-S : 파일만약 파일이 존재하고 소켓이면 참.
-t : [fd]만약 fd가 터미널 상에서 오픈된 것이면 참. 만약 fd가 생략되면 기본값은 1 (표준출력)이다.
-u : 파일만약 파일이 존재하고 set-user-id 비트 설정을 가지면 참.
-w : 파일만약 쓰기 가능 파일이면 참.
-x : 파일만약 실행 가능 파일이면 참.
-O : 파일만약 파일이 존재하고 유효 사용자 ID의 소유이면 참.
-G : 파일만약 파일이 존재하고 유효 그룹 ID의 소유이면 참.
파일1 -nt 파일2 : 만약 파일1이 파일2보다 최근에 생겼거나 수정되었다면 참
파일2 -ot 파일2 : 약 파일1이 파일2보다 오래된 것이면 참.
파일1 -ef 파일2 : 만약 파일1과 파일2가 같은 장치 같은 아이노드 번호를 갖는다면 참.
-z : 문자열만약 문자열의 길이가 0 이면 참.
-n : 문자열 문자열의 길일가 0 이 아니라면 참.
문자열1 = 문자열2 : 두 문자열이 같으면 참.
문자열1 != 문자열2 : 두 문자열이 같지 않으면 참.
! 표현식 : 표현식 이 거짓이면 참.
표현식1-a 표현식2 : 표현식1 과 표현식2 가 둘 다 참이면 참.
푠현식2 -o 표현식2 : 표현식1 또는 표현식2 둘 중 하나라도 참이면 참.
2005/06/16 18:49 2005/06/16 18:49
tftp 서비스 클라이언트 (Trivial File Transfer Protocol)

사용법 : tftp [호스트] 

TFTP는 FTP 보다 간단한 기능의 TFTP(Trivial File Transfer Protocol)서비스를 하는 호스트 접속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다. 사용자 인증이 필요 없으며, 디렉토리구조를 보여 주지 않는다.
보통의 사용법은 ftp과 같다.
원격 호스트 접속은 IP나 도메인이름을 지정하면 된다.

# tftp linux.net 

tftp 사용 명령어
? : 사용법 정보를 보여준다.
ascii : mode ASCII와 같다.
binary : mode binary와 같다.
status : 현재 ftp의 상태를 보여준다.
verbose : tftp상황을 자세히 보여준다.
mode : 전송모드(ASCII or binary)로 모드를 설정한다.
connect 호스트 [포트] : 지정한 호스트와 포트로 접속시도한다.
get 파일명 : 원격접속 호스트의 파일을 로컬시스템에 파일 다운로드 한다. 한번에 여러 파일을 지정하여 다운로드도 가능하다.
get 파일명 : 로컬파일명원격접속 호스트의 파일을 지정한 로컬파일명으로 다운로드 한다.
put 파일명 : 로컬의 파일을 원격접속 호스트에 업로드한다. 한번에 여러 파일을 지정하여 업로드가 가능하다.
put 로컬파일명 원경파일명 : 로컬파일명을 원격접속 호스트에 지정한 원격파일명으로 업로드한다.
quit : tftp접속을 끝낸다.
2005/06/16 18:48 2005/06/16 18:48
시스템 프로세스/메모리 사용현황을 실시간으로 보여준다.

사용법 : top [옵션] 
-b : 배치모드로 정보를 출력한다. 실시간 상호 정보를 계속해서 화면에 일열로 나타내게 된다. 
-d delay : 지정한 delay 시간(초)만큼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보여준다. 
-i idle : 프로세스나 zombie 프로세스를 보여주지 않는다. 
-n num : 지정한 숫자만큼 업데이트 정보를 보여준 후, 종료한다. 
-p pid : 지정한 프로세스 ID의 정보만을 보여준다. 
-q : 시간의 딜레이 없이 계속된 업데이트된 정보를 보여준다. 
-s : 몇 몇 대화식 명령을 비활성화한다. (Secure 모드) 
-S : 누적 데이트를 보여준다.(cumulative 모드)

top는 시스템의 프로세스/메모리 사용상태를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프로그램이다. top명령은 매 5초마다 시스템 프로세스 상황을 갱신하여 보여준다. 현재시간, 시스템 uptime 시간, 시스템 로긴 사용자 수, 지난 1분, 5분, 15분간 시스템의 평균 부하를 보여준다. 아래줄에는 프로세스 정보, CPU상태, 메모리와 스왑상태를 보여준다.
top 명령으로 실시간 프로세스를 정보를 보는 상태에서 실행할 수 있는 명령어는 h 명령으로 볼 수 있다.
top 설정 명령어
space :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L : 스크린을 다시 갱신한다.
F or f : 필드를 추가하거나 제거한다. 아래 "top 항목"을 참조한다. 정보를 보기를 원하는 항목의 알파벳을 누르면 선택/취소 된다.
O or o : 보여지는 필드의 정렬 순서를 바꾼다. 아래 "top 항목"을 참조한다. 순서를 설정한다. 대문자로 선택한 항목을 누르면 왼쪽으로 이동하고 소문자로 누르면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h or ? : 명령어를 보여준다.
k : 프로세스를 죽인다.
n or # : 보여줄 프로세스의 수를 지정한다.
s : 보여주는 정보의 업데이트 시간을 정한다.
W : ~/.toprc에 설정된 내용을 저장한다.
q : top을 빠져나온다.

top 보기 수정
메인 창 상단의 정보를 수정하는데 쓰인다.
S : comulative mode(실시간 정보를 누적 데이터로 보여 줌)를 선택/해제한다.
i : idel 프로세스 정보를 보여준다/해제한다.
I : lrix 나 솔라리스 정보를 보여준다/해제한다.
c : 명령행에서 실행된 명령 자체로 보여준다/해제한다.
l : Load 평균 정보를 보여준다/해제한다.
m : 메모리 정보를 보여준다/해제한다.
t : 요약된 정보만을 보여준다/해제한다.

top 정렬
메인 창에서 실행하는 명령으로, 현재 정보를 사용자의 요구대로 정렬한다.
r : 프로세스의 우선순위를 변경한다.
N : pid 정보로 정렬한다.
A : age 정보로 정렬한다.
P : CPU 사용량으로 정렬한다.
M : 적재된 메모리 사용량으로 정렬한다.
T : 시간/누적시간으로 정렬한다.
u : 지정한 유저 관련 정보만을 보여준다.
2005/06/16 18:46 2005/06/16 18:46
파일을 만들고 파일에 접근하거나 수정한 시간을 변경한다.

사용법 : touch [옵션] 파일명 
-a, --time=atime, --time=access, --time=use : 최근 파일 사용 시간(access time)만 업데이트 한다. 
-c, --no-create : 지정한 파일이 없더라도 파일을 생성하지 않는다. 
-d time, --date time : 현재시간 대신 지정한 시간으로 변경한다. 
  (월 이름, 시간 지역대, am, pm) 
-m, --time=mtime, --time=modify : 파일이 수정된 시간을 변경한다. 
-r file, --reference file : 지정한 파일의 시간으로 변경한다. 
-t time : 현재시간 대신 지정한 시간으로 변경한다 ([[cc]yy]mmddhhmm[ss]) 
    [cc]yy:년, mm:달, dd:일, hh:시, mm:분, ss:초 
--help : 도움말을 보여준다. 
--version : 버전정보를 보여준다. 

touch 명령은 주어진 파일의 최근 사용시간과 최근 변경 시간(파일 내용이 바뀐 시간)을 시스템의 현재 시간으로 바꾼다. 만일 파일이 없다면 0 바이트 크기의 이름만 있는 파일을 만들게 된다.
파일에 대한 접근/수정 시간을 현재 시각이나 특정한 시각으로 바꿔 주는 유틸리티지만 새 파일을 만들 때 쓸 수도 있다. script.sh란 파일이 없다면 touch script.sh라는 명령어로 새파일을 만들게 된다. 이런 식으로 시간 정보를 갖는 빈 파일을 만들어서 프로젝트의 변경 날짜를 추적하는데 쓰는 등의 사용법이 가능하다.
touch는 파일이 존재하는 경우 파일의 액세스와 수정시간을 변경한다. 시간 지정이 없을 경우 시스템의 현재 시간이 적용된다.
파일이 없는 경우 tocuh 명령어를 이용하면 새 파일이 만들어지지만, -c 옵션을 사용하면 새 파일을 만들지 않는다. 또한 -t 옵션을 이용하면 새로 만드는 파일의 생성 시간을 현재 시간이 아닌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2005/06/16 18:45 2005/06/16 18:45
문자열에서 특정 문자를 삭제하거나 변환한다.

사용법 : tr[옵션] 문자열 1 [문자열 2] 
-c, --complemnet : 문자열 1을 ASCII값 001-337과 비교하여 보수연산을 한다. 
-d, --delete : 문자열 1에서 지정한 문자를 지운 후 보여준다. 
-s, --squeeze-repeats : 문자열 2에서 반복되는 문자를 지운다. 
-t, --truncate-set1 : 문자열 1을 문자열 2의 길이로 자른다. 
--help : 도움말을 보여준다. 
--version : 버전정보를 보여준다. 

tr은 문자 변환 필터로써, 인용부호나 []를 적절하게 사용하여 표준출력으로 내보내는 역할을 한다.
2005/06/16 18:44 2005/06/16 18:44
지정한 호스트로 가로 네트워크 경로를 보여주는 명령어

사용법 : traceroute [옵션] 호스트명 [패킷크기] 
-m : 홉(hop)을 지정한다(기본값은 30이고, 최대값 255까지 지정가능) 
-n : 주소 찾기를 끌 수 있다. 
-p : 시작 포트 번호를 지정한다. 
-q : 한 집합 당 패킷 수를 지정한다. 
-v : 더 많은 정보를 보여준다. 
-w : 타임아웃의 값을 지정한다. 

하나의 호스트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지에 대한 테스팅을 위한 대표적인 것이 ping이다. 하지만 ping은 단순 연결성만을 나타낼 뿐이다. 호스트에서 ICMP패킷을 받지 않게 설정을 하면 정확한 연결성 테스트 결과를 알 수 없다.
traceroute 명령은 실제 패킷이 지나가는 경로를 확인하여 호스트에 연결된 네트워크 병목 구간을 파악하고 네트워크 연결성도 파악할 수 있는 명령어이다.
2005/06/16 18:43 2005/06/16 18:43
언제나 반드시 참 값을 반환한다.

사용법 : true [옵션] 
--help : 도움말을 보여준다. 
--version : 버전을 보여준다. 

참값을 반환한다. 셀 안에서 참을 반환 할 때 쓰이며 참일 경우 "0"을 리턴한다.
2005/06/16 18:42 2005/06/16 18:42
현재 사용중인 터미널의 파일명을 보여준다.

사용법 : tty [옵션] 
-s, --silent, --quiet : 아무것도 출력하지 않는다. 
--help : 도움말을 보여준다. 
--version : 버전을 보여준다. 

tty 는 현재 표준입력에 연결되어 있는 터미널의 파일명을 보여준다.

# tty 
/dev/pts/2 
2005/06/16 18:41 2005/06/16 18:41
ext2 파일 시스템의 패러미터를 설정한다.

사용법 : tune2fs [옵션] 
-c 마운트 횟수 : 최대 마운트 횟수 설정 
-e 에러시 반응 : 마운트 에러가 생겼을 경우 커널의 반응을 설정한다. 
continue : 정상적으로 계속 실행한다. 
remount-ro : 읽기 전용으로 마운트 한다. 
panic : 커널 패닉을 보여준다. 
-g 그룹 : 예약된 블록을 사용할 그룹을 설정한다. 
-i 파일시스템 점검 간 시간 간격 [d|m|w] : 매일(d), 매달(m), 매주(w)를 점검 시간으로 설정한다. 0은 시간점검을 하지않는다. 
-l : 파일 시스템 슈퍼 블록 내용을 보여준다. 
-m : 예약 블록 퍼센트 : 지정한 장치의 예약 블록 퍼센트를 정한다. 
-r 예약 블록 수 : 지정한 장치의 예약 블록 수를 정한다. 
-u 사용자 : 예약 블록을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를 설정한다. 

tune2fs는 파일 시스템의 슈퍼 블록 정보를 변경한다. 슈퍼 블록은 파일시스템 크기나 사용 OS등 전체적인 파일시스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l 옵션을 이용하여 파일 시스템의 슈퍼 블록 정보를 확인 할 수 있다.
2005/06/16 18:40 2005/06/16 18:40
밑줄 속성이 있는 문자열을 밑줄 표시와 함께 보여준다.

사용법 : ul [option] file 
-i : 언더라인 속성이 있는 문자의 경우 언더라인 문자 표시가 아닌 다음 줄에 언더라인 표시로 나타난다. 터니멀이 언더라인 문자표시를 못할 경우 유용하다. 
-t 터미널 : 출력되는 터미널 속성을 지정한다. 

밑줄 속성의 문자들에 밑줄 표시를 하면서 화면에 출력하여 http, ftp 등의 주소를 다른 문자열과 구분되게 만들어 준다. 언더라인 설정은 /etc/termcap 파일을 참조한다.
터미널의 종류에 따라 밑줄 처리를 못하는 경우 표준 출력으로 보여준다.

[관련 명령어]
cat 표준출력으로 보여준다.
2005/06/16 18:39 2005/06/16 18:39
마운트한 장치를 해제한다.

사용법 : 
umount [option] 장치 (파일) 
umount [option] [-t 파일시스템속성] 장치 (파일) 
-V : 버전 보여준다. 
-h : 도움말을 보여준다. 
-v : 언마운트 내용을 보여준다. 
-n : /etc/mtab 를 갱신하지 않고 언마운트 한다. 
-a : /etc/mtab 파일에 모든 파일 시스템을 언마운트 한다. 
-t 파일 시스템 속성 : 언마운트 하고자 하는 파일시스템의 종류를 지정한다. 
둘 이상은 콤마(,)로 구분한다. no를 접두사로 사용하면 특정 속성의 파일시스템을 언마운트 리스트에서 제외 할 수도 있다. 

시스템은 파일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해 mount를 하며 다시 해제 할 때는 umount를 사용한다. 현재 시스템에 마운트 된 파일시스템은 /etc/mtab에 등록된다.
다음과 같이 마운트 되어 있는 파일 시스템을 확인해 보자. "mount -l"로 마운트된 리스트를 확인 하거나 "/etc/mtab"파일을 열어 현재 마운트된 정보를 볼수 있다.
이중 특정 장치에 마운트를 해제할 수 있다. cdrom의 장치를 해제해 보자

# umount /mnt/cdrom 
2005/06/16 18:39 2005/06/16 18:39
시스템의 정보를 보여준다.

사용법 : uname [옵션] 
-m, --machine : 시스템의 하드웨어 타입을 보여준다. arch 같은 기능을 한다. 
-n, --nodename : 시스템의 네트웍 노드 호스트명을 보여준다. 
-r, --release : 운영체제 릴리즈 넘버를 보여준다. 
-s, --sysname : 운영체제의 이름을 보여준다. 
-v : 운영체제의 버전을 보여준다. 
-a, --all : 위 모든 정보를 보여준다. 
--help : 도움말을 보여준다. 
--version : 버전을 보여준다. 

uname은 시스템에 대한 정보를 보여준다.
다음 예제와 같이, -a 옵션을 사용하여 시스템의 모든 정보를 볼 수 있다.

# unmae -a
2005/06/16 18:37 2005/06/16 18:37
compress로 압축된 파일을 푼다.

사용법 : uncompress [옵션] 압축파일명 
-f : 강제 압축해제 기존에 같은 이름의 압축파일이 있는 경우 덮어쓴다. 
-v : 압축이 풀리는 과정을 보여준다. 
-c : 압축 해제 내용을 표준출력으로 보여줍니다. 
-V : 버전을 보여준다. 

uncompress은 압축된 파일을 풀어주는 명령어이다.
2005/06/16 18:36 2005/06/16 18:36
공백을 탭으로 변환한다.

사용법 : unexpand [옵션] 
-a, --all : 모든 공백을 변환한다. 
-t 숫자, --tabs=숫자 : 탭크기를 8이 아닌 정해진 숫자로 사용했다. 
-t 목록, --tabs=목록 : 
-h, --help : 도움말을 보여준다. 
-v, --version : 버전을 보여준다. 

공백 문자를 탭으로 변환하여 준다.
텍스트 파일에서는 스패이스 바로 입력한 공백 문자를 탭으로 변환하여 준다.
탭은 스페이스 8번째로 커서를 옮기게 되는데 "-t숫자"옵션으로 탭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2005/06/16 18:35 2005/06/16 18:35
똑같은 행이 두번 이상 나올 경우 하나만 남기고 삭제하는 명령어이다.

사용법 : uniq [옵션] 
-c, --count : 같은 라인이 몇 번 나오는지를 표시한다. 
-d, --repeated : 중복되어 나오는 라인중 한 라인만 보여준다. 
-D, --all-repeated : 중복되는 모든 라인을 보여준다. 
-N, -f N, --skip-fields=N : 필터링을 무시할 라인을 정한다. 시작 라인부터 N번째 라인까지는 검사하지 않는다. 
-i, --ignore-case : 중복 라인을 한라인으로 생각하고 출력한다. 
+N, -s N, --skip-chars=N : N 번째 문자는 부터 검사를 시작한다. 
-u, --unique : 중복 라인이 없는 것만 보여준다. 
-w, --check-chars=N : N 번째 문자 까지 검사 한다. 
--help : 도움말을 보여준다. 
--version : 버전을 보여준다. 

uniq는 중복되는 문자열을 찾아 필터링 하는 명령어이다.
중복되는 문자열 중 중복되는 것만 보여 주거나 중복되지 않는 것만 보여줄 수 있다.
또는 중복되는 숫자를 카운트 할 수도 있다. 검사하는 방법은 특정 라인을 제외 할 수도 있고 한 라인에서 지정한 필드 까지만 검사하거나 제외 시킬 수도 있다.
2005/06/16 18:35 2005/06/16 18:35
시스템의 가동시간과 평균 부하를 보여준다.

사용법 : uptime [옵션] 
-V : 버전을 보여준다. 

uptime은 평균 시스템의 부하를 보여준다.
2005/06/16 18:34 2005/06/16 18:34
시스템에 사용자를 추가한다.

사용법 : useradd 사용자 ID 
-c comment : 새로운 사용자의 설명을 추가한다. 사용자의 전체이름을 지정해 줄 수 있다. 
-d 홈디렉토리 : 사용자 홈 계정 디렉토리 위치를 지정한다. 기본적으로 /home 디렉토리 밑에 생성된다. 
-e 날짜 : 임시 사용자의 사용기간을 제한한다. YYYY-MM-DD (년도-월-날) 방식으로 정한다. 
-f 남은 날수 : 임시 사용자의 사용 시간은 남은 날수로 제한한다. 
-g 그룹 : 새로운 사용자의 그룹을 지정한다. 
-G 그룹, ... : 새로운 사용자가 포함되는 여러 그룹을 지정할 수 있다. 
-u UserID : 새로운 사용자 ID 값을 지정한다. 사용자 ID 값은 /etc/passwd파일로 확인 할 수 있다. 
-p 패스워드 : 새로운 사용자의 생성과 함께 패스워드도 정한다. 
-s shell : 새로운 사용자의 셀을 정한다. 
-m -k skell_dir : skell 디렉토리를 지정한다. 기본적으로 /etc/skell 디렉토리의 내용을 새로운 사용자 디렉토리로 복사해 온다. 

슈퍼유저는 useradd 명령으로 시스템에 새로운 사용자 ID를 생성할 수 있다.
발급받은 ID를 사용하여 시스템에 접속하여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시스템을 관리하다 보면 일시적인 ID를 생성해야 할 때가 있다. 이럴때 "-e" 옵션으로 날짜를 정해 주어 사용한다. 지정한 날짜가 지나면 만료된 계정의 사용자는 접속 할 수 없다.
또한 발급한 ID가 늘어날수록 사용자를 구분하기 힘들다. 이럴 때 -c로 사용자 이름을 넣어 구분할 수 있다.

# useradd -e 2004-12-25 -c honggildong spooky 

사용자 계정을 생성 한 후에는 passwd 명령을 이용하여 사용자 비밀번호를 생성해주어야 한다.
-p 옵션을 이용하면 계정 생성 시 패스워드도 같이 생성할 수 있다. 새로운 계정 생성시 /home/사용자 계정에 /etc/skel 내용이 복사된다. skel 디렉토리를 관리자가 사용자별로 정리하여 복사해 올 디렉토리를 지정해 주는 것도 가능하다.

[관련명령어]
userdel 시스템의 사용자를 삭제하는 명령어
usermod 사용자의 설정 환경을 변경하는 명령어
2005/06/16 18:33 2005/06/16 18:33
시스템의 사용자 ID를 삭제한다

사용법 : userdel [옵션] 
-r : 사용자 ID 뿐 아니라 사용디렉토리까지 같이 삭제한다. 

userdel은 시스템의 사용자를 제거하는 명령어이다.
userdel 명령만을 사용할 경우 사용자 디렉토리의 정보는 지우지 않고 계정만 삭제된다. 사용자 디렉토리정보 까지 삭제하기 위해서는 -r 옵션을 사용한다.

# userdel -r spooky 

일반적으로 사용자 계정은 "/home/사용자계정" 으로 자신의 홈 계정을 만든다. 물론 사용자 생성 시 홈 디렉토리 위치를 지정할 수도 있다.
2005/06/16 18:31 2005/06/16 18:31
현재 사용자의 설정 파일을 수정한다.

사용법 : usermod [옵션] 
-c comment : 사용자의 설명을 변경한다. 사용자의 전체이름을 지정해 줄 수 있다. 
-d 홈디렉토리 : 사용자 홈 계정 디렉토리 위치을 지정한다. 
-e 날짜 : 사용자의 사용기간을 제한한다. YYYY-MM-DD (년도-월-날)방식으로 정한다. 
-f 남은 날수 : 임시 사용자의 사용 제한 
-g 그룹 : 새로운 사용자의 그룹을 지정한다. 
-G 그룹, ... : 사용자가 포함되는 여러 그룹을 지정한다. 
-l 사용자 ID : 사용자 ID를 변경한다. 
-p 패스워드 : 사용자의 패스워드를 정한다. 
-s shell : 사용자의 셀을 정한다. 
-u UserID : 사용자 ID 값을 변경한다. 사용자 ID 값은 /etc/passwd파일로 확인할 수 있다. 
-L : 사용자의 패스워드를 막아 놓아 접근을 막는다. 이 옵션은 패스워드를 지정하는 "-p" 옵션이나 패스워드 락을 풀어주는 "-U" 옵션과 같이 사용될 수 없다. 
-U : 사용자 접근을 막은 패스워드를 풀어준다. 이 옵션은 패스워드를 지정하는 "-p" 옵션이나 패스워드 락을 걸어주는 "-L" 옵션과 같이 사용될 수 없다.

usermod는 사용자의 정보를 수정할 수 있다. 기존의 사용자 정보를 변경하여, 시스템에서 계정에 대한 관리를 편하게 할 수도 있다.
주의할 점은 로그인 중인 사용자의 정보는 수정하지 못한다.
2005/06/16 18:30 2005/06/16 18:30
현재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를 보여준다.

사용법 : users [옵션] 
--help : 도움말을 보여준다. 
--version : 버전을 보여준다. 

시스템에 로그인 중인 사용자목록을 보여준다.
2005/06/16 18:29 2005/06/16 1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