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삭제한다.

사용법 : mdeltree [-v] 도스파일 디렉토리 
-v : 버전을 보여준다. 

mdeltree는 mtools 명령어이다.
MS-DOS 파일 시스템에 있는 디렉토리와 서브디렉토리의 모든 파일을 삭제하는데 쓰인다.
2005/06/17 18:33 2005/06/17 18:33
MS-DOS 디렉토리의 파일 목록을 보여준다.

사용법 : mdir [옵션] 도스파일(디렉토리) 
-/ : 반복적으로 파일 목록을 보여준다. 
-w : 파일 이름만 보여준다. 
-a : 숨긴 파일을 포함한 모든 파일을 보여준다. 
-f : 디스크의 남은 용량을 체크하지 않고 파일 목록을 보여준다. 디스크 용량을 보여주지 않으므로 목록을 보여주는 속도가 빠른다. 
-b : 파일 이름과 디렉토리 이름을 한 줄에 하나씩 간결하게 보여준다. 
-v : 버전을 보여준다. 

mdir은 mtools 명령어이다.
MS-DOS 파일 시스템에 있는 파일 목록을 보여준다. 사용법과 옵션은 MS-DOS의 것과 거의 같다. 경로가 디렉토리가 아닌 경우는 에러가 발생한다.
-a 옵션을 이용하면 숨긴 파일도 볼 수 있다. -ab 옵션을 이용해 숨긴 파일을 포함한 모든 파일을 한 줄 씩 화면에 출력해 보자

# mdir -ab 
2005/06/17 18:32 2005/06/17 18:32
플로피 디스켓을 도스 파일 형식으로 포맷한다.

사용법 : 
mformat [-f 사이즈] [-1/4/8] 드라이브 
mformat [-옵션] 드라이브 
-f : 포맷 되는 도스 파일시스템의 크기를 정한다. 
-1 : single-sided 포맷한다. 
-4 : double-sided 에 360k 포맷한다. "-1"과 같이 쓰이면 한 방향에 180k 포맷된다. 
-8 : 트랙당 8 섹터로 포맷한다. 
-t 실린더 : 실린더 수를 정한다. 
-h 헤드 : 헤드 수를 정한다. 
-h 섹터 : 트렉 당 섹터 수를 정한다. 
-v 볼륨 레벨 : 볼륨 레벨을 써준다. 

mformat은 mtools 명령어이다. mformat은 유닉스 파일 시스템으로 low-level 포맷 된 디스켓에 MS-DOS 파일 시스템을 추가한다.

플로피 디스켓을 1440k의 용량의 도스 파일시스템으로 포맷하고 pirania라는 레이블명을 부여해 보자.

# mformat -v pirania -f 1440 a: 

포맷 된 자세한 디스크 정보를 보기 위해서는 minfo를 이용한다

[관련 명령어]
mtools 참조
2005/06/17 18:31 2005/06/17 18:31
MS-DOS파일 시스템의 디스크 정보를 보여준다.

사용법 : minfo [옵션] 드라이브 
-v : 부터 섹터의 hexdump를 보여준다. 

minfo는 mtools 명령어이다.
minfo는 MS-DOS파일시스템을 사용하는 디스크의 정보를 보여준다. 디바이스 정보와 부트 섹터 정보 별도로 보여준다.
2005/06/17 18:30 2005/06/17 18:30
디렉토리를 만든다.

사용법 : mkdir [옵션] 디렉토리이름 
-m, --mode 모드 : 새로 만들어 지는 디렉토리의 권한을 설정한다. 
-p, --parents : 상위 경로를 같이 만든다. 
--help : 도움말을 보여준다. 
--version : 버전을 보여준다.

mkdir은 디렉토리를 만들 때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디렉토리를 만들면서 권한을 줄 수 있다. 설정을 하지 않을 경우 기본적으로 755의 실행 권한을 갖는다. (chmod 참고) 파일의 사용자, 그룹, 다른 사용자에게 똑같이 모든 사용 권한을 주는 디렉토리를 만들어 보자.

# mkdir -m 777 testdir 

-p 옵션을 사용하여 상위 디렉토리까지 한번에 생성이 가능하다.

# mkdir -p subdir1/subdir2 
2005/06/17 18:17 2005/06/17 18:17
리눅스 파일 시스템을 생성한다.

사용법 : mke2fs [옵션] 장치명 
-b bytes : 블럭크기를 지정한다. 
-c : 파일시스템 생성시 배드 블럭을 체크한다. 
-f bytes : 플레그먼트의 크기를 지정한다. 
-i bytes : 아이노드 당 바이트(bytes-per-inode)를 정한다. 기본값은 4096 bytes 이며 최소값은 1024bytes 이다. 
-l 파일명 : 파일에서 배드블럭을 검사한다. 
-m 퍼센트 : 수퍼유저에게 예약해 둘 블럭의 퍼센트를 정한다. 기본값은 5%이다. 
-q : 출력 없이 실행한다. 스크립트 안에서 사용되어 출력을 내보내지 않는다. 
-v : 파일시스템을 생성하는 과정을 자세히 보여준다. 
-F : 지정한 장치가 블럭 장치가 아니어도 mke2fs를 무조건 실행하도록 한다. 
-S : 수퍼블럭, 그룹 기술자(descripotr)만을 쓴다. 

디스크에 새로운 리눅스 파일 시스템을 만들 때 쓰인다. mke2fs명령어는 mkfs -t ext2 명령과 같다.
새로 생성된 파일 시스템은 마운트 하여 사용할 수 있다. /etc/fstab 파일에 등록하면 시스템을 다시 시작할 때 마다 새로 마운트하는 수고 없이 사용이 가능하다.

[관련 명령어]
mkfs 리눅스 파일시스템 생성 명령어
2005/06/17 18:04 2005/06/17 18:04
파일 시스템을 만드는 명령어이다.

사용법 : mkfs [옵션] 장치명 [크기] 
-V : 정보를 자세히 보여준다. 
-t 파일시스템 형태 : 만들어질 파일시스템이 종류를 지정한다. 
-c : 파일시스템을 생성하기 전 먼저 배드블록을 검사한다. 
-l 파일이름 : 지정한 파일명으로부터 배드블록 목록을 읽는다. 
-v : 직업상태와 결과를 자세히 보여준다. 

mkds는 파일시스템을 만들어 준다. ext2, ext3, vfat등의 다양한 파일시스템을 만들수 있다.
Primary Slave 파티션의 구성을 살펴보자. fdisk -l 명령으로 확인할수 있다.

# fdisk -l /dev/hda 

Disk /dev/hda: 255 heads, 63 sectors, 2498 cylinders 
Units = cylinders of 16065 * 512 bytes 

   Device Boot    Start       End    Blocks   Id  System 
/dev/hda1   *         1      2236  17960638+  83  Linux 
/dev/hda2          2237      2497   2096482+  82  Linux swap 

dev /hdb는 Linux System으로 2개의 파티션이 나누어져 있다.
/dev/hdb2 파티션을 ext2 파일 시스템으로 생성하여 보자.
새로 파일 시스템을 만들 디바이스명을 입력한다.

# mkfs -t ext2 /dev/hdb2 

[관련 명령어]
mke2fs ex2 파일시스템 생성 명령어
mkdosfs msdos 파일시스템 생성 명령어
mkswap 리눅스 스왑 영역을 지정하는 명령어
2005/06/17 17:50 2005/06/17 17:50
특수파일을 만든다.

사용법 : 
mknod [옵션] 파일명 {bcu} 메이저번호 마이너번호 
mknod [옵션] 파일명 p 
-m, --mode 모드 : 모드는 사용자 권한을 말한다. chmod 명령어를 참고하여 모드를 사용한다. 
--help : 도움말을 보여준다. 
--version : 버전을 보여준다. 
2005/06/17 17:49 2005/06/17 17:49
리눅스 스왑영역을 지정하는 명령어

사용법 : mkswap [옵션] 장치이름 [블럭크기] 
-c 스왑 영역을 만들기 전에 먼저 배드블럭을 검사한다. 

mkswap 명령은 지정한 특정 장치나 파일을 스왑영역으로 지정한다.
아래는 512M 크기의 리눅스 스왑파일을 만드는 예이다.

512M의 스왑파일 만들기

# dd if=/dev/zero of=/swap bs=1024 count=524288 
# mkswap /swap 524288 
# sync 
# swapon /swap 

free 명령으로 작성된 스왑파일을 확인한다.

# free 

스왑을 해체하려면 swapoff 명령을 사용한다.

# swapoff /swap 
# free 
2005/06/17 17:48 2005/06/17 17:48
새로운 볼륨 레이블을 만들거나 볼륨 시리얼을 만든다.

사용법 : mlabel [옵션] 드라이브: 
-c : 현재 레이블을 지운다. 
-s : 현재 레이블을 보여준다. 
-n : 새로 시리얼 넘버를 랜덤하게 만든다. 
-N 시리얼 : 새로운 시리얼 넘버를 지정하여 만든다. 16진수 8자리로 만든다. 

mtools 명령어이다.
MS-DOS의 label 명령어와 같은 기능으로 쓰인다.
a 드라이브의 이름을 지정한다.

# mlabel a: 
 Volume label is PIRANIA 
Enter the new volume label :  spooky 

# mlabel -s a: 
 Volume label is spooky 

볼륨 시리얼 넘버의 변경은 16진수 8자리로 이루어 진다.

# mlabel -N 01234567 a: 

변경된 내용은 mdir을 이용하여 확인할수 있다.
2005/06/17 17:47 2005/06/17 17:47
MS-DOS 디렉토리를 만든다.

사용법 : mmd [옵션] 디렉토리명 

mmd는 mtools 명령어이다.
mmd는 MS-DOS디렉토리를 만든다.

# mmd a:/testdir 
2005/06/17 17:46 2005/06/17 17:46
MS-DOS 디스크를 마운트한다.

사용법 : mmount 도스드라이브 마운트 위치 

mmount는 mtools 명령어이다.
mmount는 MS-DOS 디렉토리를 마운트한다.
mtools가 사용하고 있는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인 A:드라이브를 /mnt/floppy 디렉토리에 마운트하여 사용한다.

# mmount a:/mnt/floppy 

mmpunt로 MS-DOS드라이브를 등록하기 위해서는 /etc/fstab 또는 /etc/mtab 파일에 등록되어 있어야한다.
만약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마운트 위치의 디렉토리를 파일 내용에서 찾을 수 없다는 에러메세지를 출력한다.
2005/06/17 17:45 2005/06/17 17:45
MS-DOS의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이동하거나 이름을 바꾼다.

사용법 : mmove [옵션] 파일 [이동위치/파일이름] 
-V : 버전을 보여준다. 

mmove는 mtools 명령어이다.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이동하거나 이름을 바꿔준다. mmove 명령은 mtools를 통해 지정된 드라이브로의 이동만 가능하다. 드라이브 지정이 없을 경우 mtools가 지정하는 디렉토리를 가리킨다. 디렉토리 지정은 mcd 명령어를 이용하여 변경한다.
2005/06/17 17:45 2005/06/17 17:45
커널에 모듈을 적재한다.

사용법 : 
모듈적재 
modprobe [-a -n -v] [-C config] [-t 형태] 패턴 OR 모듈명1 모듈명2 ... 

모듈리스트 
modprobe [-l] [-C config] [-t 형태] 패턴 

설정보기 
modprobe [-C config] -c 

모듈제거 혹은 자동제거 
modprobe [-C config] -r [모듈명 ...] 

-a, --all : 모듈과 의존성으로 관련된 다른 모듈도 같이 적재한다. 
-c, --showconfig :  현재의 설정을 본다. 
-d, --debug : 디버깅 정보를 보여준다. 
-h, --help : 사용법을 보여준다. 
-k, --autoclean : autoclean 모듈을 로드한다. 
-l, --list : 커널 모듈들을 보여준다. 
-n, --show : Don't actually perform the action 
-q, --quiet : Quiet operation 
-r, --remove : 모듈을 제거하거나 atuoclean 모듈을 제거한다. 
-s, --syslog : 메시지를 syslog로 보낸다. 
-t, --type moduletype : Only look for modules of this type 
-V, --version : 버전정보를 보여준다. 
-C, --config configfile : /etc/modules.conf 파일 대신 지정한 설정파일을 이용한다. 

modprobe 명령은 insmod보다 높은 수준의 제어를 할 수 있는 모듈 제어 명령어이다.
레드햇 기준으로 모듈 디렉토리는 /lib/modules/커널버전/kernel/에 있다.

현재 메모리에 적재된 모듈들을 먼저 보도록 하자.

# lsmod 
Module                  Size  Used by    Not tainted 
iptable_mangle          3040   0  (autoclean) (unused) 
iptable_filter          2560   0  (autoclean) (unused) 
ipt_MASQUERADE          2368   0  (unused) 
iptable_nat            22228   1  [ipt_MASQUERADE] 
ip_tables              13952   6  [iptable_mangle iptable_filter ipt_MASQUERADE iptable_nat] 
ip_conntrack           26164   1  [ipt_MASQUERADE iptable_nat] 
3c59x                  28552   2 
ide-cd                 32256   0  (autoclean) 
cdrom                  32128   0  (autoclean) [ide-cd] 
usb-uhci               24676   0  (unused) 
usbcore                73792   1  [usb-uhci] 
ext3                   65984   1 
jbd                    47500   1  [ext3] 

ip_table 모듈, 랜카드 모듈, ext3모듈, usb관련 모듈 등이 있다.
그중 ip_tables모듈을 rmmod명령을 사용하여 메모리에서 제거해보자.

# rmmod ip_tables 

insmod명령으로 다시 ip_tables 모듈을 로드한다.

# insmod /lib/moduels/2.4.13-1hl/kernel/net/ipv4/netfilter/ip_tables.o 

depmod 명령으로 각 모듈에 대한 의존성을 검사하여 모듈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한다.
생성된 파일은 /lib/modules/커널버전/modules.dep으로 생성된다.
이 modules.dep 모듈 데이터베이스로 modprobe 명령을 사용할 수 있다. 한 예를 들어 아래의 ipt_MASQUERADE.o 모듈은 먼저 ip_conntrack.o, ip_tables.o, iptable_nat.o 모듈을 먼저 로드해야 하지만 modprobe 명령은 자동으로 의존성을 체크하여 같이 모듈을 올려 준다.
2005/06/17 17:44 2005/06/17 17:44
파일을 원하는 형식으로 보여준다.

사용법 : more [옵션] [-라인] [+/표현식] [+라인] [파일명] 
-d : more 명령은 글쇠를 입력받아야할 때, "[Press space to continue, "q" to quit.]" 내용을 보여주고, 글쇠가 잘못 입력되었을 때, "[Press "h" for instructions.]"내용을 보여준다. 
-p : 스크롤하지 않고, 화면을 모두 지우고, 텍스트를 보여준다. 
-s : 여러 줄의 빈 줄을 한 줄로 보여준다. 
-u : 밑줄 속성을 가진 문자를 그냥 보여준다. 
+/표현식 : 정규 표현식이 발견되는 부분부터 보여준다. 
-라인 : 한 화면에 출력할 라인수를 지정한다. 
+라인 : 지정한 라인부터 보여준다.

more 명령은 한 페이지 이상을 넘어하는 내용을 입력으로 받아, 페이지 별로 볼 수 있다. 또한, 검색과 원하는 페이지로의 이동이 가능한다.
more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
h -more의 도움말 출력 스페이스키
z -다음 페이지 출력
엔터키 -한 줄 출력
d, ^D -반 페이지 출력
q, Q -종료
f -다음 페이지
b, ^B -이전 페이지
/검색할 -단어 단어검색
2005/06/17 17:43 2005/06/17 17:43
파일시스템을 마운트하여 사용할수 있게 만든다.

사용법 : mount -a [옵션] 디바이스 디렉토리 
-h : 도움말을 보여준다. 
-V : 버전 정보를 보여준다. 
-a : fstab에 기술되어 있는 모든 파일시스템을 마운트한다. noauto 옵션은 자동마운트에서 제외한다. 
-v : 자세한 설명을 보여준다. 
-f : 실제 시스템 호출은 하지 않고 마운트할 수 있는지 점검한다. 
-n : /etc/mtab 화일에 쓰기 작업을 하지 않고 마운트한다. /etc가 읽기전용 파일 시스템인 경우에 필요하다. 
-r : 읽기만 가능하게 마운트한다. -o ro 옵션과 같다. 
-w : 읽기/쓰기 모드로 마운트 한다. 기본 설정값이다. -o rw옵션과 같다. 
-t 파일시스템 : 파일 시스템을 형식을 지정한다. 
-o : -o 옵션 뒤에 콜론으로 다음 옵션 중 필요한 것을 선택하여 사용한다. 

   async : 파일 시스템에 대한 I/O가 비동기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auto : -a 옵션으로 마운트한다. 
   defaults : rw, suid, dev, exec, auto, nouser, async를 기본옵션으로 한다. 
   dev : 파일시스템 상의 문자, 블럭 특수 장치를 해석한다. 
   exec : 바이너리의 실행은 허가한다. 
   noauto : -a 옵션으로는 마운트되지 않는다. 
   nodev : 파일시스템 상의 문자, 블럭 장치에 대한 해석을 하지 않는다. 
   noexec : 파일시스템에 실행권한을 주지 않는다. 
   nosuid : set-UID, set-GID를 무시하게 한다. 
   nouser : 일반 사용자는 마운트를 못하게 한다. 
   remount : 이미 마운트된 파일시스템을 다시 마운트한다. 
   ro : 파일 시스템을 읽기만 가능하게 한다. 
   rw : 읽기/쓰기 모두 가능하게 마운트한다. 
   suid : set-UID, set_GID 가 효력을 발휘할 수 있게 해준다. 
   vsync : 파일 시스템에 대한 I/O가 동기적으로 이뤄지게 한다. 
   user : 일반 사용자도 마운트할 수 있게 허용한다.

리눅스에서는 모든 장치를 포함하여 모든 것들을 / 밑에 하나의 디렉토리로써 인식한다. /etc/fstab에 설정하여 부팅시 자동 마운트를 하게 한다
2005/06/17 17:42 2005/06/17 17:42
MS-DOS 디렉토리 삭제명령어이다.

사용법 : mrd [옵션] MS-DOS디렉토리 
-V : 버전을 보여준다. 

mrd는 mtools 명령어 이다.
MS-DOS의 디렉토리 삭제에 쓰인다. 디렉토리 내에 파일이 있거나 하위 디렉토리가 있을 경우 삭제되지 않는다. 또한 파일도 삭제하지 못한다. 이때는 mdeltree 명령을 사용하면 항위 항목이 있는 디렉토리나 파일도 모두 삭제가 가능하다.
2005/06/17 17:42 2005/06/17 17:42
MS-DOS 파일명을 변경한다.

사용법 : mren [옵션] 파일명 [변경할 파일명] 
-a : 중복되는 이름과 비슷한 이름으로 자동으로 변경한다. 
-A : 중복되는 이름과 비슷한 이름으로 자동으로 변경한다. (모든 파일 적용) 
-r : 중복되지 않는 이름으로 바꾼다. 
-R : 중복되지 않는 이름으로 바꾼다. (모든 파일 적용) 
-o : 덮어쓴다. 
-O : 덮어쓴다.(모든파일적용) 
-s : 명령을 적용시키지 않는다. 
-S : 명령을 적용시키지 않는다. (모든파일적용) 
-V : 버전을 보여준다. 

mren은 mtools 명령어이다.
mren은 MS-DOS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이름을 변경하는데 쓰인다.
2005/06/17 17:41 2005/06/17 17:41
MS-DOS파일의 내용을 보여준다.

사용법 : mtype [옵션] 파일명 
-t : 텍스트 파일을 보여준다. carriage return/lin feed 형식을 line feed 형식으로 변경하여 출력한다. 
-v : 버전을 보여준다. 

mtype은 mtools 명령어이다.
mtype은 MSDOS 파일을 보여주는 명령어이다.

# mtype -t a:/test.txt 

파일의 내용이 출력된다. -r는 MS-DOS의 개형 혁식을 리눅스/유닉의 개행 형식으로 변경하여 출력한다.
2005/06/17 17:40 2005/06/17 17:40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이동하거나 이름을 바꿀때 사용한다.

사용법 : 
mv [옵션] source target 
mv [옵션] source directory 
mv -d [옵션] --target-directory=directory sourceenv [옵션] [변수=값...] [명령 [인수...]] 
-b : 백업파일을 생성한다. 
-i, --interactive : 기본적으로 .bashrc에 alias되어 있는 옵션으로, 이동할 때 동일한 파일이 있을 경우 사용자에게 확인을 하게 한다. 
-v, --verbose : 이동하기 전 각각의 파일이름을 출력한다. 
-u, --update : 이동할 파일이 새로운 파일인 경우만 이동한다.

mv 명령어는 파일이동과 이름 변경이 가능하다. 원본과 대상의 이름이 다르면 이름을 변경하는 것과 같다. 이동할 파일이 여러 개 일 경우는 이동모드로만 동작한다.
2005/06/17 15:43 2005/06/17 15:43